오늘은 초자아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초자아 관계,프로이트의 초자아, 자아와 초자아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자아란?
초자아란 태어나서 아직 언어를 사용할 수 없는 아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아기는 주로 처음 3년간은 말을 할 수 없지만, 그 기간 동안 언어와 소통 능력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초자아는 주로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언어적인 표현을 사용하며, 그들이 원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울거나 손짓 등의 비언어적인 수단을 사용합니다. 초자아는 성장과 함께 언어를 배우고, 이후에는 더 복잡한 아이디어와 개념을 표현할 수 있게됩니다.
초자아 관계
초자아 관계란 아기와 부모 혹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초기 아기 시기에는 아기나 부모나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전하고 안정감 있는 환경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아기의 심리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아기가 안정적인 상호작용과 적극적인 자극을 받을 때,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을 분비합니다.
초기에는 부모나 보호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기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신을 존중받으며, 자신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기는 성장과 발달을 위한 도전적인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따라서 초자아 관계는 아기의 성정과 발달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모나 보호자는 아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안전하고 지지하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합니다.
프로이트의 초자아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자아,'심','초자아'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초자아는 태어나면서부터 인간의 정신 구조에 내재하고 있는 무의식적인 부분으로, 어머니나 부모가 전달하는 문화적인 규범, 도덕적인 가치관,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경험 등으로 형성됩니다.
초기에는 초자아가 자아와 상호작용하여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돕지만, 나중에는 초자아가 자아에 지나치게 제약을 가하거나, 무의식적인 감정과 욕구를 일으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이트는 초자아를 중요한 개념으로 생각하며, 인간의 정신 구조와 발달에 대한 이해에서 이 개념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러나 초자아는 다른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지만, 초자아의 개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비판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자아와 초자아의 차이점
자아와 초자아는 프로이트 정신 구조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입니다. 이 둘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형성 시기: 자아는 태어나면서부터 형성되는 인식적, 의식적인 부분이며, 초자아는 어머니나 부모 등의 문화적인 규범과 가치관, 경험 등을 통해 초기에 형성됩니다.
- 역할: 자아는 현실적인 요구와 적응, 조절을 담당하고, 초자아는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지키며 자아의 행동을 쥬게 하고, 이상적인 상태를 추구합니다.
- 의식성: 자아는 의식적이고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이며, 초자아는 무의식적이고 의식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 영역: 자아는 인간의 정신 구조에서 의식적인 부분을, 초자아는 무의식적인 부분을 담당합니다.
- 개입 방식: 자아는 현실적인 상황과 적응에 대처하기 위해 합리적인 판단과 행동을 수행하며, 초자아는 자아의 행동을 규제하고 이상적인 상태를 추구하기 위해 감정과 욕구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자아와 초자아는 인간의 정신 구조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시기에 형성되는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부분으로, 인간의 성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초자아가 강한사람
초자아"는 피터 피더슨(Peter Peterson)이 개발한 심리학적 개념으로, 인간의 성장 단계 중 하나로서, 태어난 직후부터 2세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기는 세상과 처음으로 만나며, 자기 감각과 경험을 통해 자신과 다른 것들을 구분하고 배웁니다.
"강한 사람"이란, 어려운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기 능력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강한 사람은 대개 자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끈기와 인내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습니다.
초자아 단계에서 강한 사람은 자기 감각과 경험을 통해 자기 능력과 한계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자아를 구축합니다. 이 단계에서 부모나 돌보는 사람들의 태도와 반응은 아기가 자기 능력과 자아를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강한 사람은 어린 시절에 안정적이고 지지받으며,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존중해주는 환경에서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한 사람은 자신의 가치관과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자기 능력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면서도 새로운 것을 배우고 발전해 나갑니다. 또한, 강한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생각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초자아 단계에서 강한 사람으로 자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부모나 돌보는 사람들의 태도와 반응, 그리고 생활환경 등 여러 요인이 초자아 단계에서 아기의 자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심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넘효과,초두효과,칵테일파티효과,설단현상,부정적 자기지각 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21 |
---|---|
트라우마 정의,트라우마 증상, 트라우마 극복방법, 트라우마 관리, 트라우마 근거기반심리치료 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9 |
성격검사의 정의, 성격검사의 종류, 성격검사의 목적, 성격검사의 필요성, 헥사코 성격검사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3 |
우울증의 정의, 우울증 자가진단,우울증 극복방법, 우울증에 좋은 음식,우울증에 좋은 운동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2 |
심리적안녕감의 정의, 심리적안녕감의 구성요소, 심리적안녕감의 척도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