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방어기제란 무엇이고 ,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어기제란?
방어기제는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인간이나 동물이 불안감, 스트레스, 충돌 등에 직면했을 때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발동하는 방어적 행동이나 마음의 과정을 말합니다.
우리는 매일 다양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감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우리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방어기제로는 부인, 적대성, 투영, 연소, 회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어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어기제는 어느 정도는 인식하고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마음 상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방어기제의 종류
방어기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방어기제는 개인의 성격, 경험, 문제 상황 등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방어기제의 종류입니다.
부인 (Denial) :
현실적인 사실을 인식하지 않는 방어 기제입니다. 문제 상황이나 불안을 느낄 때, 그 문제를 부정하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습니다.건강 문제를 부인하는 것이 부인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어떤 사람이 건강한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유지하지 않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그 사람은 자신이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그 사람은 건강한 상태임을 부정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식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그 사람은 자신의 건강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건강 문제를 부인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건강한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유지하지 않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느 상황이 되었을 때, 그사람은 자신이 건강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것을 인식하고 싶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그사람은 건강한 상태임을 부정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식하지 않으려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 그사람은 자신의 건강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적대성 (Aggression):
불안한 상황에서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을 공격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것으로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대성의 예시로는 폭력적인 행동이나 공격적인 언어 사용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리에서 사람과 서로 마주하게 된 경우, 한쪽이 다른 한쪽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면 적대적인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거나, 상대방을 폭력적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폭력적인 행동이나 공격적인 언어 사용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리에서 사람과 서로 마주치게 된 경우, 한쪽이 다른 한쪽을 방해한다고 생각하면 적대적인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공격적인 언어를 사용하거나, 상대방을 폭력적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투영(Projection):
자신이 갖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특성을 타인에게 돌리는 방어 기제입니다. 자신이 갖고있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특성을 타인이 갖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비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투영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직장에서 불만을 느낄 때, 이를 다른 동료의 잘못이라고 생각하고, 그 동료의 비난하는 것입니다.
또한, 자신이 부적절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타인에게 돌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성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타인에게 돌려서 상대방이 성적으로 다가온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직장에서 불만을 느낄 때, 이를 다른 동료의 잘못이라고 생각하고, 그 동료를 비난하는 것입니다. 또한, 자신이 부적절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타인에게 돌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성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다면, 이를 타인에게 돌려서 상대방이 성적으로 다가온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연소 (Displacement):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다른 대상에게 푸는 것입니다. 자신이 상대할 수 없는 대상이나 상황을 대신하여, 다른 대상에게 불만이나 고민을 푸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집에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직장에서 이를 표출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이를 직장에서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대상이나 행동으로 옮겨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직장에서는 다른 직원이나 업무에 대해 표출하거나, 출근길에 운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집에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직장에서 이를 표출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 이를 직장에서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대상이나 행동으로 옮겨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직장에서는 다른 직원이나 업무에 대해 표출하거나, 출근길에 운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입니다.
회피(Avoidance):
문제 상황이나 불안을 피하는 방어 기제입니다. 문제를 직면하지 않고 회피하거나,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회피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어떤 문제나 곤란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대처하는 대신 무시하거나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않고 그냥 지나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과 대립하는 사람이 나타났을 때, 그 사람을 대처하지 않고 그냥 무시하거나 그 사람과 대화를 회피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어떤 문제나 곤란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대처하는 대신 무시하거나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않고 그냥 지나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과 대립하는 사람이 나타났을 때 , 그 사람을 대처하지 않고 그냥 무시하거나 그 사람과 대화를 회피하는 것입니다.
합리화(Rationalization):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을 정당화하거나, 다른 이유로 변명하는 방어 기제입니다. 문제 상황이나 실수를 합리적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합리화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어떤 사람이 본인이 한 나쁜 행동을 자신의 윤리적인 신념이나 가치관과 맞지 않지만, 그것을 정당화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하고 있지만, 치즈케이크를 먹고 싶어서 그것을 먹게 되는 경우, 그 사람은 "오늘 하루만 먹어도 괜찮겠지"라는 합리화를 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어떤 사람이 본인이 한 나쁜 행동을 자신의 윤리적인 신념이나 가치관과 맞지 않지만, 그것을 정당화하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를 하고 있지만, 치즈케이크를 먹고 싶어서 그것을 먹게 되는 경우, 그 사라은 " 오늘 하루만 먹어도 괜찮겠찌"라는 합리화를 하게 됩니다.
유예 (Procrastination):
문제 상황에 대해 대처를 미루는 것입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미루거나, 해결을 연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예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중요한 일이 있어도 그것을 미루고 쉬거나, 다른 무의미한 일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부해야 할 시험이 있지만, 대신에 유투브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어기제가 있으며, 이러한 방어기제는 서로 연관되어 작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불안을 느낄 때 부인이나 회피를 통해 스트레스를 피하려는 동시에, 투영이나 합리화를 통해 자신을 안심시키려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적안녕감의 정의, 심리적안녕감의 구성요소, 심리적안녕감의 척도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1 |
---|---|
무의식 정의, 무의식 세계, 무의식과 의식의 비율, 무의식의 극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10 |
정신분석이론,정신분석요법,정신분석이론에서의 방어기제,정신분석치료 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06 |
심리검사,심리검사의 목적, 심리검사 도구, 심리검사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05 |
게슈탈트 이론, 게슈탈트 붕괴,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05 |
댓글